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청년실업률 21.3%.<br><br>사상 최악의 취업난으로 고통받고 있는 중국 이야기입니다. <br><br>20대 청년들은 인력 시장을 전전하고, 전통 사찰에 모여 향을 피우고 취업 기원까지 합니다. <br> <br>세계를 가다, 베이징에서 이윤상 특파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중국 베이징 외곽의 인력시장.<br> <br>이른 아침부터 전국에서 모인 구직 희망자들로 발 디딜 틈이 없습니다. <br> <br>30~40대들이 많지만, 앳된 20대도 보입니다. <br><br>베이징에서 가장 규모가 큰 인력시장 입니다. <br><br>새벽부터 일자리를 찾는 사람들이 모이고 있는데요. <br> <br>최근 일감이 줄면서 빈손으로 돌아가는 사람들이 적지 않습니다.<br><br>최대 1000명 가까이 모이는데, 일자리를 얻는 사람은 절반도 안 됩니다.<br><br>현장에서 만난 20대 구직자들은 일당도 줄었다며 하소연 합니다. <br> <br>[20대 구직자] <br>"(지난해) 남자는 하루 280~300위안(4만9000~5만3000원)이었어요. 올해 사람이 많아져 240~260위안(4만2000~4만6000원)으로 떨어졌죠." <br> <br>"코로나19 봉쇄가 풀리니까 모두 일자리를 찾으러 나온 거죠. 사람은 많고 일자리는 적어요." <br> <br>대학생들의 아르바이트 구하기는 '하늘의 별따기'입니다. <br> <br>[베이징시 대학생] <br>"(아르바이트 구하는 것 어렵나요?) 단기 일자리는 구하기 어려워요, 짧게 일 할 사람은 필요 없대요." <br> <br>불안감은 채용 박람회에서도 나타납니다. <br> <br>대학 졸업 예정자들은 기업들 부스를 돌며 지원 해보지만 성과가 나지 않습니다. <br><br>[장 모 씨(22세)/대졸 예정자] <br>"(취업이) 정말 어려운 것 같아요. 매일 면접을 보지만 면접 후에 아무 연락이 없어요." <br> <br>중국 정부가 발표한 지난 달 16~24세 청년 실업률은 21.3%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. <br><br>청년 실업률이 석 달 연속 20%를 넘은 것은 처음입니다. <br> <br>구직난이 심각하다보니 최근 젊은이들이 전통 사찰들에 모여 향을 피워놓고 취업 기도를 하는 웃지 못할 풍경도 나타나고 있습니다. <br> <br>중국은 노동력을 높이겠다는 취지로 1999년부터 대학 정원을 대폭 늘려왔는데 지난해에는 처음으로 대졸자가 1000만 명을 넘었습니다.<br> <br>반면 기업들은 코로나19 사태 후 경제 성장 전망을 낮게 잡고 채용 인원을 줄였는데, 이 때문에 수요와 공급에서 차이가 생겼다는 분석이 나옵니다.<br> <br>고임금 일자리에 대한 높은 선호도도 실업률 고공 행진의 원인으로 꼽힙니다. <br> <br>[푸링후이 / 중국 국가통계국 대변인(17일)] <br>"고용에 대한 압박과 구조적 문제가 여전히 존재하는 가운데 일부 산업에서의 구인난과 청년층 구직난이 공존하고 (있습니다.)" <br> <br>중국 정부는 대도시에 구직자들이 몰려 경쟁이 치열해졌다며 대졸자의 귀농도 독려하고 있습니다. <br><br>농사짓는 연예인을 앞세운 TV 프로그램까지 만들었습니다.<br><br>하지만 비현실적인 대책이라는 비판을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실업률 고공 행진이 조기에 해결되지 않는다면, 중국의 미래 세대가 오히려 시진핑 체제의 불안 요소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. <br> <br>베이징에서 채널A 뉴스 이윤상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위진량(VJ) <br>영상편집 : 변은민<br /><br /><br />이윤상 기자 yy27@ichannela.com